수면장애 증상

반응형

모든 사람들이 다 그렇지는 않겠지만 밤에 잠자는 시간이 아무리 많아도 다음날 전혀 개운하지 않거나, 피곤한 경우가 있습니다. 혹은 잠이 들지 않아 힘든 분들 계신가요? 이러한 경우가 빈번하다면 수면장애를 앓고 있는 건 아닌지 의심해봐야 합니다. 숙면은 다음날 컨디션을 좌우한다는 점에서 수면장애는 반드시 치료가 필요합니다.

수면장애
수면장애

 

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40대 입원 환자가 가장 많았던 질병의 정보와 관리법에 대해 알아보고, 이중 8위를 차지한 수면장애와 그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수면장애를 겪는 환자는 지난 4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합니다. 2015년 45만 6124명이던 환자 수는 2019년 63만 7328명으로, 약 40% 증가했습니다.

이중 40대 환자의 진료비 비율이 가장 높았습니다. 20.2%를 차지하면서 약 139억 원을 차지했습니다.
출처 :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
산출 조건 : 수면장애
상병코드 : G47 / 심사 연도: 2015-2019년
제공 :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
http://opendata, hira.or.kr
■ 연령별 환자는 진료비 명세서에 기재된 수진자 생년월일을 기준으로 계산한 나이이며, 진료 시점에 따라 중복 집계될 수 있습니다.
※질병은 주상병 기준이며 최종 확정된 질병과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※2019년 자료는 아직 집계 중에 있어 수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.
※더 자세한 통계 자료는 심평원 보건의료 빅데이터 개방 시스템에서 직접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수면장애에는 다양한 질환들이 있으며, 수면장애의 질환별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불면증

불면증은 잠에 들기 힘들거나, 간신히 잠에 들어도 자주 깨어 낮 동안 피로감, 졸음, 의욕상실 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수면장애입니다. 불면증의 대표적인 원인은 스트레스인데요. 스트레스로 인해 수면리듬이 깨지기 시작해 잘못된 수면습관이 형성되면 불면증이 생기게 됩니다. 불면증은 수면위생, 인지행동 치료, 약물치료 이 세 가지 방법을 혼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보편적입니다.

스트레스가 심해 잠들기 힘든 경우에는 전문의의 처방을 받아 수면제를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.

과면증 및 기면증

과면증과 기면증도 수면장애 질환입니다. 두 질환 모두 과도한 수면과 관련이 있는데요. 최소 7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낮에 과하게 졸리다면 과면증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. 한편, 기면증은 잠을 잘 수 없는 상황에서도 졸음을 참을 수 없어 순식간에 잠에 빠져드는 증상입니다. 기면증은 약물로 증상을 완화하여 치료합니다. 낮 동안 쏟아지는 졸음을 줄이기 위해 각성제를 사용하는데요.

약물을 복용하더라도 심한 졸음이 나타난다면 20분 내외의 낮잠을 자는 것도 좋다.

 

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

코골이는 아주 흔한 생리 현상이지만, 그 증상이 심해 수면 중 호흡이 멈추는 수면무호흡증이 동반된다면 치료가 필요합니다. 수면무호흡증이 하룻밤에 40회 이상 나타난다면 숙면을 취하기 힘들고, 산소 공급이 어려워 다음날 피로감, 두통, 무기력감, 기억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. 수면무호흡증은 수면다원검사와 구강 및 비강에 대한 평가, 환자의 선호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방침을 정하는데요. 증상의 정도에 따라 연구개와 목젖, 비강에 대한 수술적 치료, 또는 구강 내 장치치료나 상기도 양압술 치료를 시행하기도 합니다.

 

수면장애 극복 방법 8가지

  1. 긴 낮잠 피하기 = 늦은 낮잠 및 장시간의 낮잠은 수면 각성 주기를 해칠 수 있습니다.
  2. 일정한 시간에 기상하기 = 취침시간을 일정하게 하기보다는 기상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
  3. 잠을 준비하는 동안 두뇌의 활동 줄이기 = 취침 전 흥미로운 TV 프로그램, 재밌는 책 멀리하기
  4. 카페인 피하기 = 카페인의 각성효과는 14시간까지 지속되므로 잠자기 전, 카페인 피하기
  5. 술 피하기 = 술은 각성을 유발하고, 장기 복용 시 수면 자체 변화를 유발합니다.
  6. 저녁시간 흡연 피하기 = 니코틴은 도파민의 활성을 증가시켜 각성을 유발합니다.
  7. 수면에 좋은 습관 키우기 = 자신에게 잘 맞는 수면 환경(침구, 조명, 소리 등) 만들기, 잠들기 전 일정한 행동 패턴 (양치질, 스트레칭, 샤워 등) 만들기
  8. 침실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을 자제하기 = 뇌가 잠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기 때문에 스마트폰 멀리하기

수면장애

숙면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수면 환경을 잘 유지하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. 평소 잠을 이루기 힘들다면 규칙적인 취침, 기상 시간을 지키고 알코올과 카페인 등의 자극인자는 멀리하는 것이 좋겠죠?
반응형
당신이 좋아할 만한 콘텐츠